integer1004 2023. 10. 7. 12:06
728x90

 

INTEGER;

 

음()의 정수(…,-3,-2,-1), 0, 양()의 정수(1,2,3,…)를 합한 것, 즉 자연수 전체에 그 역원과 0을 합한 것이다. 두 정수의 합·차·곱은 정수가 되지만, 한 정수 a를 다른 정수 b(b≠0)로 나눈 몫 a/b는 반드시 정수가 된다고는 할 수 없으며, 일반적으로 분수(유리수)가 된다. a/b가 정수이면, a는 b로 나누어 떨어진다고 한다. 이때 a를 b의 배수, b를 a의 약수라고 한다.

유리정수()라고도 한다. 두 정수의 합·차·곱은 정수가 되지만, 한 정수 a를 다른 정수 b(b≠0)로 나눈 몫 a/b는 반드시 정수가 된다고는 할 수 없으며, 일반적으로 분수(유리수)가 된다. a/b가 정수이면, a는 b로 나누어떨어진다고 한다. 이때 a를 b의 배수, b를 a의 약수라고 한다.

정수를 계수로 하는 다음과 같은 대수방정식 xn+a1xn-1+a2xn-2+…+an=0 (단, a1,a2,…,an은 정수, n은 자연수, xn의 계수는 1)의 근인 복소수()를 대수적 정수()라고 한다. 예를 들면, -1+√2i는 방정식 x2+2x+3=0의 근이므로 대수적 정수이지만, 1/√2은 대수적 정수가 아니다. 또 유리정수 a는 x-a=0의 근이므로 대수적 정수이다. 그리고 정수는 ‘덧셈에서는 a+x=0이 되는 a의 역원 -a가 존재한다’는 조건에 따라 뺄셈을 자유로이 할 수 있으며, 또 정수 중에서 양의 정수(0보다 큰 정수) 전체는 자연수의 공리를 만족하므로 자연수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.

따라서 정수란, 자연수 전체에 그 역원과 0을 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. 한편, 순서수()의 정의에 따라 유한순서수는 자연수(0을 포함해서)와 동일시되며, 따라서 자연수 전체의 집합 ω={0,1,2,…}도 순서수이다. 이때 ω는 초한순서수()가 된다. 따라서 정수는 자연수 전체에 그 역원을 합한 것이라고 할 수가 있다.

[네이버 지식백과] 정수 [integer, 整數] (두산백과 두피디아, 두산백과)

 

(1) 일반적으로 「0」과 「양」 및 「음」의 자연수 모두를 가리킨다. 소수 부분과 분수 부위를 갖지 않는 수이다.
(2) 컴퓨터 세계에서는 (1) 외에 데이터형과 변수의 형 선언(type declaration)의 선언자(declarator)로도 사용한다. 그 경우는 「int」 등과 생략하여 사용하는 프로그래밍 언어도 있다. 이외에 형(型)의 종류로는 문자형(character type), 부동 소수점형(floatingpoint type), 배열형 구조체, 공동체, 논리형 등이 있다.

[네이버 지식백과] 정수 [integer, 整數] (컴퓨터인터넷IT용어대사전, 2011. 1. 20., 전산용어사전편찬위원회)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오늘은 제 블로그의 닉네임 INTEGER 에 대한 이야기입니다.

컴퓨터 프로그래머 공부하던 시절... 

항상 코딩에서.. 변수 선언할때.. 자주사용하던.. 용어...

나의 이름하고 똑같으.. 정수.. ㅋㅋㅋ

그래서 저의 영원한 닉네임이 되었답니다..

 

 

https://integer1004.blogspot.com/

 

INTEGER

 

integer1004.blogspot.com

 

https://blog.naver.com/koreakcb2

 

INTEGER : 네이버 블로그

장정수

blog.naver.com

 

728x90